🎋 나무에도 신이 산다 – 당산신과 목신 이야기 > 무속 (샤머니즘)

본문 바로가기

무속

🎋 나무에도 신이 산다 – 당산신과 목신 이야기

본문

UidDjsJ.jpeg
 

🎋 나무에도 신이 산다 – 당산신과 목신 이야기

사람들이 가장 먼저 신을 만난 곳은

하늘도, 불상도 아닌 나무 아래였습니다.

크고 오래된 나무 앞에서 마을 사람들은 정성을 올리고,

아이를 잃은 여인은 두 손을 빌었으며,

무당은 그 나무를 ‘신내림’의 자리로 삼았습니다.


나무는 단순한 식물이 아니었습니다.

그 안에는 신이 깃든다는 믿음이 있었고, 그 믿음은 지금도 살아 있습니다.



🌳 당산신과 목신 – 나무에 깃든 신령

당산신(堂山神)은 마을 어귀의 큰 나무에 모시는 공동체 수호신입니다.

느티나무, 팽나무, 고목 등에 신이 깃든다고 여겨

정월 초에는 마을 전체가 모여 당산제를 지냈습니다.

- 남신일 경우 장군당,

- 여신일 경우 할매당으로 불리며 그 성격과 금기가 각기 달랐습니다.


반면 목신(木神)은 나무 그 자체에 깃든 신령입니다.

벼락 맞은 나무, 피가 흐른다는 고목, 묘 앞에서 자란 나무 등에

무속인은 신의 감응이 있다고 믿고, 특정 굿이나 접신 행위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 도교에도, 불교에도 없는 신 – 한국의 샤머니즘이 낳은 신령

당산신과 목신은 도교에도 불교에도 없는 신입니다.

이들은 하늘의 천신도, 불법의 수호신도 아닙니다.

- 특정 경전도 없고,

- 의례가 지역마다 달랐으며,

- 공식적인 신전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그래서 더 한국적입니다.

지리적 감각과 공동체 중심의 신령체계,

자연물과 혼연일체된 신앙이라는 점에서

이들은 한반도 고유의 샤머니즘 전통이 낳은 신령들입니다.



🌲 나무가 왜 신이 되었는가?

나무는 그냥 많아서가 아니라, 신성할 수밖에 없는 존재였습니다.

🔹 수백 년까지 살아남는 긴 수명

🔹 해마다 식량과 열매를 주는 생명의 터

🔹 도구, 무기, 집, 배, 기둥이 되어준 삶의 기반

🔹 하늘을 향해 뻗으며 하늘과 땅을 잇는 상징성

🔹 산사태를 막고, 뿌리로 흙을 다스리며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자


이 모든 속성은 나무를 단순한 생물로 보지 못하게 했습니다.

살아 있는 신전, 움직이지 않지만 호흡하는 신의 자리로 느끼게 했던 것입니다.



🌳 오늘날에도 나무신은 살아 있는가?

지금도 일부 지역에서는 마을 고목을 중심으로 당산제를 지냅니다.

굿은 줄었지만, 천연기념물, 보호수, 마을당나무 등으로

그 신성성은 형태만 바뀌어 남아 있습니다.


- 보호수 앞에 돌무더기나 천조각이 쌓여 있는 풍경

- 지나는 이들이 가볍게 허리를 숙이는 인사

- 어린아이가 아플 때 나무 아래 천을 묶는 민속


이 모든 것이 나무에 깃든 신을 향한 살아 있는 예(禮)입니다.

또한 무속에서도 나무 아래 굿, 나무신을 올리는 제의,

목신을 모시는 당골은 지금도 존재합니다.

도시에서는 희미해졌지만, 시골과 산촌에서는 여전히

그 신의 기척이 남아 있습니다.



🧭  마무리

나무는 흔하지만, 신이 깃든 나무는 흔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압니다.

가장 먼저 기도를 올렸던 그 자리,

가장 먼저 신을 느낀 그 자리엔

언제나 나무가 있었다는 것을.


“당신이 아무에게도 빌 수 없을 때,

당신은 본능처럼 나무를 찾을 것이다.”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5 건 - 1 페이지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