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비만에 좋은 혈자리와 식품

본문
복부비만에 좋은 혈자리와 식품
동양 의학은 복부비만을 “비위(脾胃)의 운화 저하로 생긴 습·담이 중초(배)에 머무는 상태”로 봅니다.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비허·습담(脾虛·濕痰) ]
“비가 허하면 습이 생기고, 습이 오래되면 담이 된다(脾虛則生濕,濕久化痰)”는 고전적 설명처럼,
과식·단맛·기름진 음식이 비위 운화를 막아 배에 무겁고 끈적한 ‘습·담’이 정체합니다.
결과가 복부 팽만감·쉽게 불어나는 체형입니다.
[ 간울(肝鬱)·기체(氣滯) ]
스트레스·억눌림이 간의 소설(疏泄)을 막으면 과식·군것질이 늘고, 아랫배에 답답한 팽만과 지방 축적이 동반됩니다.
[ 양허·냉적(陽虛·冷積) ]
찬 음식·늦은 밤 냉성 주전부리가 잦으면 속이 차고 대사가 떨어져 지방이 잘 붙습니다.
[ 어혈(瘀血) ]
순환 저하로 하복부가 차고 단단해지며 군살이 고착되는 양상입니다.
동의보감류의 전통 서술은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단맛·기름진 음식·과음은 습(濕)을 만들고, 습이 중초에 머물면 복만(腹滿)·비만(살이 찜)으로 이어진다. 비위를 덥히고 운화를 돕는 법, 담을 풀고 기를 소통시키는 법을 써야 한다.”
따라서 건비화습(健脾化濕), 이기화담(理氣化痰), 온양활혈(溫陽活血)이 큰 축이고, 생활에선 “달고 기름진 것을 줄이고, 규칙적으로 움직이며, 속을 따뜻하게”가 핵심 요지입니다.
복부비만에 도움이 되는 핵심 혈자리
[ 중완(中脘) ]
배꼽과 명치 중간. 위정체·더부룩함 완화, 복부 긴장 이완
[ 천추(天樞) ]
배꼽 좌우 3촌 부근. 장운동 조절, 가스·변비 개선—복부 순환의 관문.
[ 기해(氣海)·관원(關元) ]
배꼽 아래 1.5·3촌. 아랫배 대사·온기 보강, 양허·냉적형에 특히 유익.
[ 족삼리(足三里) ]
무릎 아래 바깥 3촌. 비위를 돕는 대표혈—“잘 붙는 체질”을 완화.
[ 태충(太衝) ]
발등, 엄지·둘째발가락 사이 오목. 간울·스트레스성 과식 진정.
복부비만에 도움이 되는 핵심 식품
[ 현미·귀리 ]
수용성 식이섬유로 포만·혈당 완화
[ 해조류(미역·다시마) ]
알긴산이 지방 흡수 완화+장내 미생물 먹이
[ 두부·콩류]
단백질 밀도를 올려 총섭취량 자연
[ 그릭요거트 + 발효식품(김치 등)]
단백질+프로바이오틱스 조합으로 장내 환경 개선
[ 등푸른 생선(고등어·연어·참치)]
EPA/DHA가 내장지방에 유리
[ 사과 ]
펙틴으로 포만·장 균형
[ 녹차 ]
카테킨이 지방 산화 보조
[ 고추·고추장(소량) ]
캡사이신으로 에너지 소비 미세 상승
[마무리]
복부비만은 칼로리 과잉·정제탄수·야식·음주·수면 부족·스트레스와 인슐린 저항성이 맞물려 생깁니다.
한의학적으로는 비위 운화가 허해져 습·담이 중초에 머물고, 간울·냉적·어혈이 겹치면 아랫배에 쉽게 붙는 체형이 됩니다.
그래서 식단이나 혈자리보다 먼저 습관을 고치는 것이 1순위입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