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습진에 도움되는 식품과 혈자리

-
- 첨부파일 : 9 2.png (269.8K) - 다운로드
본문
♨️ 습진에 도움되는 식품과 혈자리
옛 한의학에서는 습진을 단순히 피부 겉의 진물이나 가려움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몸속의 습(濕)과 열(熱)이 조화를 잃어, 피부 밖으로 그 결과가 드러난 것으로 해석했지요.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습진을 “濕熱(습열)이 피부에 머물러 진물이 나고, 가렵고, 붉어지는 증상”으로 기록했습니다.
이는 오늘날 알레르기성·아토피성 습진과도 매우 유사합니다.
즉, 습진은 단순한 접촉성 피부염이 아니라,
- 몸속의 습과 열이 쌓여 발생하는 문제
- 체내 면역과 장부 균형이 깨져 피부 장벽이 약해진 상태
로 이해되었습니다.
따라서 치료의 핵심은 습을 제거하고, 열을 내리며, 진정·보습을 돕는 것이었습니다.
영양학적 설명 – 습진에 좋은 식품
[ 보리 ]
옛부터 습을 빼주고 열을 내리는 곡식. 보리차는 갈증·진물 많은 습진에 도움.
[ 녹두 ]
해열·해독 작용이 강해 피부 염증을 완화. 알레르기성 습진에 자주 활용됨.
[ 배 ]
진액을 보충하고 열을 내려 피부 건조와 가려움 완화. 비타민 C 풍부.
[ 참깨 ]
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 E가 많아 피부 장벽 회복에 도움.
[ 다시마·미역 등 해조류 ]
체내 중금속·노폐물 배출, 피부 염증 완화.
👉 공통적으로 기름지고 맵고 짠 음식은 피하고, 열·습을 줄이고 보습·진정에 도움이 되는 식품 위주로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습진에 좋은 혈자리
[ 곡지(曲池) ]
팔꿈치 바깥쪽 주름. 열을 내리고 피부 가려움 완화에 전통적으로 쓰임.
[ 태충(太衝) ]
발등 엄지와 둘째발가락 사이 움푹한 곳. 간의 기운을 풀어주고 습열을 다스림.
[ 합곡(合谷) ]
손등 엄지와 검지 뼈 사이. 체내 독소 배출을 돕고, 염증성 피부질환에 흔히 사용.
생각해볼 점 – 습진은 비(脾)인가, 폐(肺)인가?
[ 급성 습진 – 진물·습한 증상 ]
비(脾)와 관계. 비위가 허약하면 습이 쌓여 피부로 배출된다고 봄.
[ 만성 습진 – 건조·가려움 증상 ]
폐(肺)와 관계. 폐기가 약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장벽이 약해져 쉽게 자극받음.
👉 습진은 급성과 만성 양쪽에 모두 걸쳐 있으므로, 비위와 폐 두 가지 장부와의 균형이 핵심입니다.
마무리
습진은 단순히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병이 아니라, 습열과 장부 불균형이 피부로 드러난 것입니다.
식품과 혈자리 자극을 통해 습을 제거하고 열을 내리며 피부 장벽을 강화한다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무엇보다 꾸준한 보습·생활습관 관리와 함께 전문적인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