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진에 좋은 혈자리와 식품

본문
🌿 포진에 좋은 혈자리와 식품
대상포진은 오늘날 의학적으로는 신경을 따라 발생하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활성화 질환이지만,
옛 의학에서는 ‘화(火)와 풍(風), 습(濕)의 울결(鬱結)’로 인해 생긴 기혈의 막힘과 열독(熱毒)의 병으로 보았습니다.
📜 《동의보감》과 고의서 속의 포진 기록
《동의보감·외형편》에서는 포진을 직접 “帶狀皰疹”이라 부르지 않았지만,
유사한 개념으로 “纏腰火丹(전요화단)” 혹은 “火帶瘡(화대창)”이라 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합니다.
“纏腰火丹者, 以濕熱鬱滯, 熱毒流注於肌膚, 纏繞如帶, 疼痛難忍.”
— 《東醫寶鑑》 外形篇
풀이하자면,
“허리 둘레를 띠처럼 감는 붉은 종기이니, 습열이 울체되어 열독이 피부에 퍼져 나타나며 통증이 심하다.”
즉, 기혈이 막혀 열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고, 허리 주변으로 퍼진 경우를 말합니다.
또한 《의학입문(醫學入門)》에서도 포진류를 ‘습열독으로 인한 열창’이라 규정하며,
“風濕相搏, 毒氣滯於經絡” — 즉 풍습과 열독이 경락에 막혀 생긴 통증성 창진으로 해석합니다.
이런 전통적 해석은 지금의 “신경통성 수포질환” 개념과 놀랍게도 맞닿아 있습니다.
즉, 고의학에서도 이미 ‘신경을 따라 퍼지는 화독성 질환’으로 인식했던 것입니다.
⚕️ 혈자리 요법
[ 족삼리 ]
기혈 순환을 원활히 하여 면역력 강화. 만성피로나 통증성 질환의 기본혈.
[ 곡지 ]
팔꿈치 바깥쪽, 염증을 내리고 피부의 열을 식히는 대표 혈.
[ 태충 ]
간의 기운을 소통시켜 스트레스로 인한 열증을 완화.
[ 합곡 ]
두통, 얼굴·상체 통증 완화. 통증이 심할 때 태충과 함께 눌러줍니다.
[ 신수 ]
신경과 통증에 관계된 중요한 혈자리. 허리통증, 신경통 개선에 도움.
💧 포진의 직접 부위는 건드리지 말고, 원위혈(遠位穴) 위주로 자극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포진 회복에 좋은 식품
1. 검은콩 · 흑임자 – 신장을 보하여 신경 회복을 돕습니다.
2. 표고버섯 · 마늘 – 항바이러스 성분, 면역세포 활성화.
3. 미역 · 다시마 – 열독을 가라앉히고 염증 완화.
4. 율무 · 녹두죽 – 습열을 제거하고 진정 효과.
5. 오미자차 · 감잎차 – 신경 안정 및 순환 촉진.
☯️ 마무리
옛 사람들은 포진을 단순히 ‘피부병’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몸의 기운이 한곳에 맺혀 불로 변한 것, 즉 ‘내부의 화(火)’가 밖으로 튀어나온 상태라 했습니다.
따라서 약이나 침보다 먼저, 스트레스 완화와 수면 회복,
그리고 ‘열을 가라앉히는 마음가짐’이 치유의 첫걸음이라 여겼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