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달에 좋은 식품과 혈자리

본문
🌕 황달에 좋은 식품과 혈자리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황달(黃疸)을 습열(濕熱)로 인한 병으로 보았습니다.
간과 담낭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피부와 눈이 노랗게 변하고, 소변이 진해지며, 식욕이 떨어지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는 체내의 습기와 열기가 간담을 막아 생긴 것으로 해석되어, 치료의 기본은 간을 맑히고 습열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는 식품
[ 결명자 ]
간을 맑히고 눈을 밝히며, 습열을 내려 황달 증상 완화에 좋다고 전해집니다.
[ 오미자 ]
피로와 갈증을 풀어주고, 간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 호박 ]
수분 배출을 도와 체내 습기를 줄이고, 소화기 부담을 덜어줍니다.
[ 녹두 ]
해열·해독 작용이 강해, 체내 열과 독을 빼주어 황달 개선에 도움.
[ 배·수박 ]
열을 식히고 갈증을 멎게 해주며, 소변 배출을 원활히 해주는 과일류.
도움이 되는 혈자리
[ 간수혈 ]
등의 9번째 흉추 양옆 1.5촌. 간 기능 회복과 해독 작용에 도움.
[ 담수혈 ]
10번째 흉추 양옆 1.5촌. 담즙 분비와 소화 개선에 활용.
[ 족삼리 ]
무릎 아래 바깥쪽 약 3촌. 위장을 돕고 전신 기력을 보충.
[ 양릉천 ]
종아리 바깥쪽, 무릎 아래 움푹한 곳. 간담 기능 조절과 담즙 배출 촉진.
마무리
황달은 단순히 피부가 노래지는 증상에 그치지 않고, 간과 담의 기운이 흐트러진 신호입니다.
전통적으로는 습열을 다스리는 식품과 혈자리를 통해 개선을 도왔습니다.
물론 현대 의학적 진단과 치료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며,
생활 속에서는 간을 편안히 하고 몸속 습열을 줄이는 음식과 혈자리 자극이 보조적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